제 440 차 진안 운장산(1,126m) 산행기
1. 일자 : 2018년 11월 03일 토요일
2. 동행 : 홀로 산행
3. 코스 : 내처사동(09:45) - 능선 쉼터(10:06) - 삼장봉(동봉 1,133m 11: 28 - 11:40) - 운장산(1,126m 12:02 - 13:25) - 칠성대(서봉 1,120m 13:40 - 13:50) - 활목재(14:06) - 진보산장(14:44) - 내처사동(15:00)
4. 거리&시간 : 6.87km 5시간 15분
5. 산행지도
6. 산행수첩
* 산행 들머리 내처사동에는 커다란 주차장과 화장실이 갖추어져 있다.
* 갈림길마다 이정표가 있어서 산행에 어려움은 없다.
7. 산길을 걸으며
운장산 등허리를 걸었다.
홀로 걷는 걸음에서
나를 들여다보며
무심하게 돌아서는 세월,
얼굴에 맺히는 주름,
마음 안쪽으로 담겨오는 삶을 다독여 본다.
눌러쓴 모자 차양 밑으로 기웃거리는
아침 햇살이
인생 별거 아니라고 속삭인다.
정말 텅 비어버린 운장산 옆구리를 따라 걸으며
내가 아는
사진 작가가 찍은 사진 한 장,
우리 학교 미술 선생님이 그린 그림 한 점에 빠져 든다.
나는
조금은 슬픈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 사진 위에
그 그림 위에
나는
어설픈 이야기를 얹어보고 싶었다.
내딛는 걸음마다
그 이야기를 다독이며 걸었다.
홀로 걷는 산길은
참으로 깊이가 있었다.
오직 나에게로만 다가설 수 있었던
산행.
가끔씩은
홀로 걸어야겠다.
오늘은 서봉에 오래 있지 않았다.
운장대에 홀로 앉았던 시간이 길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서봉 칠성대에는
비박을 하겠다는 젊은이들이
너무 일찍 진을 친 까닭이다.
홀로 산행은
철저히 혼자이어야 한다.
집에서 나올 때까지도
나는
남원 만행산 상사바위를 품고 있었다.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기에는
최적이리라고 생각을 하면서
불쑥 진안 백운의 내동산도 그리기는 했었다.
그럼에도
오늘 운장산을 오른 것은
끝없이 펼쳐져 나가는 능파(稜波)를 즐기려는 까닭이다.
산이 다같은 것같지만
사람이 모두 다 다르듯이
산이 가져다 주는 느낌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운장산은 운장산대로
만행산은 만행산대로
내동산은 내동산대로
느낌이 있고
이야기가 있는 것이다.
운장대에 앉아
바라본 하늘,
첩첩이 이어지는 산줄기,
들여다 본 나 자신.
오늘 운장산은 겨울을 준비하고 있었다.
내처사동 주차장.
등산로 입구 안내표지판이 있다.
이렇게 안재 지도도 있어서 한 장 찍어 본다.
산길로 들어서는데
부지런한 닭들이 반겨 준다.
사진 찍히기 싫다고 달아난 아이들도 있었는데
모두들 수탉들뿐이다.
이곳을 지나자마자 갈림길이다.
누가 봐도 왼쪽길로 갈만큼 길이 잘 나 있다.
오른쪽길도 널직하고 뚜렷하지만 왼쪽길로 가야 한다.
왼쪽길로 들어서서 몇 걸음 걸으니
이렇게 안내판이 있고
오른쪽을 바라보니
이렇게 다리가 보인다.
다리를 건너가니 제법 가파르게 올라가야 한다.
20여분 걸어 지능선 쉼터에 이르렀다.
널직한 공터가 있어서 여럿이서 쉬어가기 딱 좋다.
아침 시각인지라 햇살이 얼굴로 파고든다.
처음으로 만나는 전망대 바위에서 뒤돌아보니
운일암반일암을 사이에 두고 있는
명도봉(앞)과 명덕봉(뒤)이 보인다.
삼장봉(운장산 동봉)으로 오르는 능선에 산죽이 덮혀 있기도 하다.
산길을 걸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홀로 걸을 때 만나는 계단은
어찌된 일인지 더 힘들게 느껴진다.
힘들게 느껴질 때마다
한 발자국 걸을 때마다
힘들었던 일들을 되새겨보며
발걸음에 힘을 주어본다.
오르막길은 그냥 견디면서 올라가면 된다.
그러나 내려가는 길은
언제나 주의를 해야 한다.
다리에 힘이 빠져 있기도 하고
조금만 잘못해도 길을 놓치기 십상이다.
동봉 직전의 삼거리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좌측은 각우목재를 거쳐 복두봉, 구봉산으로 가는
소위 호남 알프스길이고
우측길은 운장산 운장대로 가는 길이다.
위 지점의 이정표
내처사동 방향에서 올라왔다.
운장산 동봉(삼장봉) 정상
삼장봉 정상석
이곳에서 주저 앉아 운장대와 칠성대를 바라보며 시간을 보내려고 했었다.
그러나
한 무리로 올라온 산악회원들이 진을 치는 바람에 서둘러 걸음을 옮겼다.
파노라마로 찍어본 산하
좌측 멀리 덕유산이 손짓을 하고 있다.
운장산에 오르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조망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삼장봉에서 바라본 운장대(좌)와 서봉 칠성대(우)
파노라마가 아닌 일반 사진
운장대와 칠성대 중간에 있는 바위가 상사바위이다.
삼장봉 아래에 있는 바위
삼장봉의 모습
삼장봉 아래의 바위
잘못한 아이가 부모에게 용서를 구하고 있는 느낌이다.
예전에 이런 안전 시설이 없었을 때 어떻게 올라다녔는지 몰르겠다.
선배들을 따라
군용텐트 짊어지고 구봉산까지 걸었던 일들이 떠오른다.
벌써 40년이 지난 일이다.
이 소나무는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운장산 정상의 이정표
젊은 시절
눈이 엄청 쌓였던 날 능선을 따라 마조마을로 내려설 때
죽을 고생을 했던 일이 생각나 슬며시 웃었다.
그때 선배들은
제대로된 장비도 없으면서도
없는 길을 만들어가며
산등성이를 헤집고 다녔고
우린 그저 선배들 꽁무니만 따라 다녔었다.
한 밤중에 산꼭대기에서 야영하다가
산 아래 마을까지 술심부름을 갔다오기도 했었다.
운장산 정상
하늘이 좋았고
아무도 오지 않아서
혼자만의 시간을 충분히 즐긴다.
복잡한 세파(世波)에서 벗어나
안으로 안으로
나를 들여다보는 일에 빠져보고
올라올 때부터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었던
사진 한 장과
그림 한장에 몰입해 본다.
산은 힘겹게 올라서지만
오르는 길,
올라선 꼭대기,
내려가는 길
모두 살이쪄 있고
힘차게 살아 있다.
운장대에서의 조망
국가시설물이라고 하는데
내가 가장 좋아하는 칠성대
대학시절 겨울
이곳에서 선배와 야영하려다가
뼈속으로 파고드는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한 밤중에
정수사로 하산하여
스님에게 엄청 혼났던 기억이 있다.
시를 썼던 그 선배는
지금 하늘나라에서 시를 쓰고 있을까.
산으로 돌아다니고 있을까.
칠성대에서 바라본 운장대(우)와 동봉(좌) 눈쌓인 겨울에 여기서 바라보는 산등성이는 아름답다 못해 영롱하다.
칠성대
왼쪽 단애에 몇 시간씩 앉아있기도 했다.
최고의 조망이 정신과 육신을 꽁꽁 붙들어매어놓기 때문이다.
운장산(雲長山 1,126m)
높이 1,126m. 노령산맥의 주봉으로, 이 일대는 800~1,000m의 고산지대를 이루며, 연석산(917m)·복두봉·옥녀봉(737m)·구봉산·부귀산(806m) 등과 함께 하나의 웅장한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산체는 동봉·중봉·서봉의 3개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봉이 최고봉을 이룬다. 산의 이름은 구름에 가리워진 시간이 길다 해서 운장산이라고 했다.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과 화강암류이며, 산마루에는 암석이 곳곳에 드러나 있다. 사방으로 능선이 뻗어 있으며, 깊고 긴 계곡들이 형성되어 있다. 서쪽 사면에서 흐르는 계곡은 만경강 상류를 이루며 대아·동상 저수지 등의 집수역(集水域)이 되고 있다. 진안고원과 잇닿아 있는 사면에서는 금강 상류의 지류인 주자천·정자천 등이 발원하여 만경강과 금강의 분수령이 되고 있다. 남쪽과 북동쪽 사면에는 봉곡저수지와 학산제(學山堤) 등이 있다. 이 일대 지역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지형적 영향으로 연평균강수량 1,300㎜ 내외의 다우지역에 속한다.
산의 북동쪽 주천면 대불리에서 주양리까지 12㎞에 이르는 주자천계곡(또는 대불천계곡·야마계곡)은 물이 맑고 암벽과 숲에 둘러싸여 있어 여름철 피서지가 되고 있다. 특히 계곡 입구인 운일암반일암 계곡은좌우로 명도봉(863m)과 명덕봉(846m)이 가까이 있어 항상 한기가 서리고 겨울에는 1일 2시간 정도만 햇빛을 볼 수 있을 정도로 계곡이 깊다. 계곡마다 기암절경을 이루고 사계절의 경치가 뚜렷하며, 조릿대가 울창한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등산로가 유명하다. 대불리 학선동-삼거리-정상-갈트미재-내처사동-학선동, 봉학리-정수암-만항치-서봉-정상-갈트미재-봉학리 가리점으로 이어지는 등산로 등이 있다. 이 일대 지역은 충청남도 금산군과 가까워 인삼의 새로운 재배지가 되고 있으며, 산의 북쪽 사면에서는 인삼과 버섯이 많이 생산된다. 도토리묵·토종꿀 등의 특산물이 있으며, 주변에 마이산도립공원과 대둔산도립공원이 있다. <출처 DAUM 백과>
칠성대에서 바라본 연석산
정수사에서 연석산으로 올라
이곳 칠성대까지 연계 산행을 하는 걸음도 정말 실팍하다.
칠성대 정상
칠성대 아래에 은밀하게 자리잡은 오성대가 있다.
조선 중종때 송익필이 은거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고 있으며
원래 주즐산이었는데 송익필의 자(字)를 따라 운장산이라고 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칠성대에서 바라본 금남정맥 장군봉 방향
칠성대에서 바라본 사달산, 문필봉 방향
사진 왼쪽이 연석산이다.
칠성대에서 바라본 정수사 방향
칠성대의 이정표
이곳에서 피암목재 방향으로 내려간다.
가파르게 내려가면
칠성대에서 400미터 내려오면 만나는 이정표
사진에는 안보이지만 이곳에서 연석산 방향으로 약 7분 정도 걸으면 오성대가 있다.
오성대와 그 위에 있는 돌탑.(2009년 11월 22일 사진)
활목재.
이곳에서 우측 독자봉 방향으로 내려간다.
동상휴게소 방향은 피암목재로 이어지는 금남정맥이다.
위 지점에서 바라본 독자봉 방향
한참을 내려오면 이렇게 계곡을 만나게 되는데
이 지점에서는 계곡을 따라 내려오면서 계곡 건너 오른쪽을 잘 살펴보아야 산길을 찾을 수 있다.
이후 산길이 희미해지는데 간간이 리본이 달려 있으므로 어려움은 없다. 잠시후 산길은 아주 두렷하게 이어진다.
이제 산길을 다 내려왔다.
이렇게 임도를 따라 내려오면
진보산장을 만나게 된다.
이 굽이를 돌아들면
왼쪽으로 계곡이 있고 계곡 너머로 내처사동으로 들어가는 도로가 보인다.
또한 진보산장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안내판과 이정표도 보인다.
그러나 그냥 도로를 따라가면 다리를 건너게 되고
저 멀리 내처사동으로 들어가는 도로가 보인다.
그러나 다리를 건너자마자 우측을 보면 이렇게 출입을 하지말라는 안내와 함께
대문을 닫아놓은 집이 있다.
대문 왼쪽으로 보이는 길을 따라 몇 걸음 걸으면
내처사동으로 들어가는 도로로 올라서게 된다.
아주 커다란 두 그루의 소나무를 만나게 된다.
300년의 역사를 지켜봤다는 소나무
소나무에서 잠깐 걸으면 내처사동 주차장이다.
저기 정차해 있는 버스는 주천을 거쳐 진안으로 가는 무진장여객으로 정각 15시에 출발하는 것을 보았다.
2018. 11. 03
힘날세상
'전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100 명산 1 ] 제 450 차 섬진강이 숨겨 놓은 순창 용궐산(646.7m) 산행기 (0) | 2019.02.11 |
---|---|
제 441 차 군산 청암산 산행기 (0) | 2018.11.12 |
제 439 차 완주 동성산(558m) 산행기 (0) | 2018.10.23 |
제 438 차 대둔산(878m) 산행기 (0) | 2018.10.23 |
제 436 차 완주 오봉산(513.2m) 산행기 (0) | 201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