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전남

제 359 차 설산, 괘일산 산행기

힘날세상 2015. 9. 9. 18:52

 제 359 차 설산, 괘일산 산행기

1. 일자 : 2015년 9월 9일 수요일

2. 동행 : 아내

3. 코스 : 지동마을 입구 체육시설(08:50) - 충주 지씨묘(08:55) - 고인돌바위(09:40) - 세갈래 소나무(10:30) - 설산(553m 10:35) - 금샘(10:47) - 호남정맥길 쉼터(11:00) - 괘일산(440.5m 11:32 - 12:15 점심식사) - 성림수련원 갈림길(12:30) - 성심수련원(12:44) - 설옥2리 마을회관(12:58) - 수도암 입구 삼거리(13:15) - 임도끝(13:32) - 저수지(13:50) - 성륜사 도로(13:58) - 충주 지씨묘(14:02) - 지동마을 입구 체육시설(14:05)

4. 시간 : 5시간 15분

5. 지도

 

 

6. 산행수첩

* 들머리 지동마을 입구 운동시설은 네비게이션에 성륜사를 입력하고 가면 된다. 옥과초등학교를 지나 자동차로 5분 정도 가면 오른쪽으로 운동시설이 있는 삼거리에 이르게 된다. 이곳에 주차했을 경우  성륜사 방향으로 400 미턴 정도 올라가면 삼거리에 묘지가 보이는데 이곳이 들머리이다. 충주지씨 묘를 바라보고 오른쪽으로 10미터 가면 이정표가 있는 들머리가 열려 있다. 체육 시설에 주차해도 되고 묘지 앞에 약간의 주차 공간이 있다.

* 하산할 때는 성림 청소년수련원에서 도로를 따라 내려오다가 처음 만나는 다리인 목동교를 지나 수도암으로 올라가는 삼거리를 지나자마자 왼쪽으로 콘크리트 도로를 따라가다가 처음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올라간다. 비포장 도로로 바뀌고 난 후 더 올라가다가 길이 우측으로 90도 꺾어지는 지점을 지나 가다보면 왼쪽으로 묘지가 있는 곳에서 묘지 왼쪽길로 들어서야 한다. 이상은 국제신문에서 만든 위 지도의 길인데 확인하지 못했다.

  우리는 이곳을 찾지 못하고 지도상 초록색을 따르고 말았다. 처음 90도로 꺾어지는 지점에 왼쪽으로 넓은 개활지가 있는 곳에서 개활지 왼쪽길을 따라 올라가 파묘한 곳에서 정말 희미한 길을 따라 낮은 안부를 넘어갔는데 길이 없더라도 무조건 직진하면(10분 정도 소요된다) 저수지가 있는 임도를 만난다. 저수지 둑을 따라 건너 작은 마을을 지나면 성륜사로 가는 도로를 만나게 되고 이곳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출발지인 충주지씨묘이다. 

 

7. 산길을 걸으며

 

2007년 호남정맥을 걸을 때부터

마음에 품었던

설산으로 향했다.

산행 코스를 어떻게 잡을까 망설이다가

국제신문에서 원점회귀 코스를 게시한 것을 보고

설산으로 달린다.

 

개교 115주년을 맞아 얻은

휴일

하루 종일 텅 비어 있던 설산 괘일산에서

쾌청한 날씨와

그만큼 푸른 하늘을 보며

하루를 즐긴다.

설산에서의 조망과

괘일산 암봉에서 산 밖 세상을 즐기고

느릿한 걸음을 걸어

세상으로 내려서는 길은

아름답고

편안하고 자유로운 길이었다.

 

산은 언제나처럼

넉넉한 품을 열어준다.

내가 쾅쾅 짓밟아도

아무런 불평도 하지 않고

내가

큰 소리로 떠들어대도

텅 비어 있는 산은

너그럽게 감싸준다.

서늘한 바람을 불러와 땀을 닦아 주고

따스한 햇살을 아낌없이

안겨주며

올라가는 길

내려가는 길을

열어준다.

 

산은 힐링이다.

산은

어머니다.

 

 

 

사행 출발점 지동마을 입구 체육시설. 주변에 약간의 주차공간이 있다.

 

 

체육시설. 보이는 도로는 마을로 들어가는 도로이다.

 

성륜사로 가는 도로. 이 도로를 따라 400여 미터 올라가면

 

실질적인 산행 들머리인 충주 지씨묘를 만난다. 눈을 감고 가지 않는다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체육시설 앞에서 100며 미터 올라오면 들머리가 있다고 했는데 들머리를 찾지 못하고 지돔마을 방향으로 판단하고 뒤돌아서다가 만난 아주머니. 은퇴하고 옥과에 내려오셔서 아주 즐겁게 살고 있다고 한다. 이분이 들머리를 가르쳐 줘서 고생을 덜했다. 들머리를 못찾을 경우 성륜사까지 걸어가서 산행하려고 했었다. 이 사진에서 오른쪽 나무 있는 곳에 들머리가 있다.

 

묘지 옆에 이정표가 세워진 들머리가 보인다. 간이 간 아주머니가 면사무소에 성륜사로 가다가 볼 수 있게 묘지 앞에 이정표를 세워달라고 수 차례 건의했다고 한다.

 

거리 표시도 잘 되어 있다.

 

설산까지 이어지는 산길이 뚜렷하고 갈림길마다 이정표가 있어서 산행에 어려움은 없다.

 

동네 뒷산을 산책하는 정도의 부드러운 산길이 이어진다.

 

지나칠 정도로 안내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고인돌 바위. 이곳에서 성륜사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난다. 그러나 수행중이니 출입을 금한다는 표지가 있다.

 

성륜사에서 고인돌 바위로 올라오는 길이다.

 

넓적바위도 지나고

 

지나온 길도 돌아보고

 

애잔함을 풍겨내는 며느리밥풀꽃과 마음도 나누며

 

쉼터를 지나면서

 

누군가 만들어 놓은 의자에 앉아보기도 한다.

 

이곳에서도 성륜사로 하산할 수 있다.

 

가야할 설산 정상

 

 

세 갈래 갈림길이지만 방향 표시는 없다. 그러나 능선을 따라 직진하면 된다.

 

왼쪽 능선이 올라온 길이고 그 아래 성륜사가 보인다. 오른쪽 저수지가 하산할 때 지나온 저수지이다.

 

이 사진에 주목하자. 오른쪽이 하산하는 길이다.  이 길을 따르다가  출발점으로 돌아가려면  가운데 능선을 넘어 왼쪽 저수지가 있는 곳으로 가야 한다.

 

부러진 체로 세월을 버티고 있는 나무

 

설산 봉우리(오른쪽)이 살짝 보이고 괘일산의 암봉도 몸매를 드러내고 있다.

 

 

 

 

설산 정상. 오른쪽은 깎아지른 절벽이라서 쇠줄을 쳐 놓았다.

 

설산의 이정표

 

설산과 괘일산은 모두 전남 곡성군이다.

 

설산에서 바라본 지리산 능선

 

설산에서 무등산. 무등산은 눈내린 겨울이 제 맛이다.

 

설산에서 괘일산 방향으로 가는 길은 호남정맥을 만날 때까지 내리막이다. 중간에 만나는 이정표

 

 

 

금샘이다. 물은 맑았지만 왠지 마시고 싶지 않았다.

 

금봉을 지나 만나는 삼거리. 임도방향을 따르면 설옥리 방향으로 내려설 수 있으나 그렇다 하더라고 이곳보다는 조금 더 진행하여 호남정맥에서 임도를 따르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호남정맥과 만나는 곳. 의자가 있는 곳이 방축재에서 오는 길이다.  만약 과치재에서 방축재 방향으로 호남정맥을 걷는다면 이곳에서 아무런 표시가 없는 의자 뒷길을 따라야 한다.  

 

위 지점에 세워진 괘일산 방향. 호남정맥 종주하는 분들의 리본이 보인다.

 

앞에서 말했듯이 임도를 따라 하산하려 한다면 이곳에서 임도를 따르는 것이 좋을 듯하다.

 

괘일산으로 가다가 바라본 설산. 2007년 호남정맥 종주를 할 때 지나치면서 마음에 담아 두고 있었는데 이제서야 올랐다. 수도암에서 오르기에는 산행거리가 너무 짦았기 때문이었는데 국제신문에서 답사한 산행코스를 보고 오르게 되었다. 약간 알바를 하긴 했지만

 

괘일산 정상에 있는 팻말. 이 팻말을 세운 김문암이라는 분은 대구에 사시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전라도 지방의 작은 봉우리에도 이런 팻말을 달아 놓은 분이다.

 

괘일산 정상에 서 있는 이정표. 이곳에서 성림수련원 방향으로 하산한다.

괘일산 정상 부근에는 길이 여러 갈래가 있어서 헷갈릴 수가 있는데 무조건 봉우리쪽으로 올라가면 된다.

 

괘일산에서 바라본 성림 수련원

 

괘일산에서 내려다 본 하산길.  저수지 아래에 있는 마을은 설옥리 2구이다.  파란 지붕 축사를 지나 도로를 따라 내려가다가 왼쪽 산자락과 도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도로를 버리고 왼쪽에 있는 시멘트 도로를 따라 가다가 능선을 넘어가야 한다.

 

괘일산 정상에 있는 소나무

 

정상에서 본 성림수련원 하산 방향의 능선

 

괘일산의 암봉

 

 

 

이 이정표를 지나서

 

이곳에서 성림수련원 방향으로 하산한다. 길은 아주 뚜렷하고 외길이다. 이정표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직진 방향 리본이 달려 있는 길은 호남정맥이다.

 

하산하다가 만난 사슴벌레

 

성림 수련원 앞 도로에 있는 이정표. 당연히 옥과 방향을 따른다.

 

하산하다가 본 괘일산

 

사자암갈림길 이곳에서 사자암 방향으로 가는 도로를 따르면 괘일산 직전 호남정맥 능선에서 만난 임도로 이어진다.(지도 참고)

 

전원주택일까. 그렇다고 해도 너무 깊이 들어온 것 같다.

 

설옥 관광논원은 문을 닫은 것 같다.

 

설옥리로 하산하는 길

 

설옥리에서 바라본 설산

 

설옥리 2구 마을회관

 

설옥리에서 바라본 설산(우측)과 괘일산(좌측) 가운데 움폭 들어간 곳이 호남정맥 쉼터로 지도에서 임도끝이라고 표기된 지점이다.

 

정상에서 내려다 본 사진에 보이는 파란 지붕의 축사.

 

수도암 삼거리. 돌기둥에 수도암이라고 써 있다. 앞에 보이는 흰색 안내판을 지나자 마자 왼쪽길로 들어서야 한다.

 

위 갈림길에서 20미터 정도 거리이다. 왼쪽으로 간다. 직진하게 되면 출발지점까지는 엄청 돌아가야 한다.

 

첫 번째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간다.

 

비포장으로 바뀌고 조금 더 진행하면 이렇게 90도로 굽어진 길을 만난다. 가운데 풀기둥은 전봇대를 감고 올라간 칡덩굴이다. 나는 이곳에서 도로를 버리고 왼쪽 으로 들어갔는데 결과적으로 길을 잘못 들었다.

 

전봇대에 달라 붙은 칡덩굴

 

전봇대 앞에서 이렇게 오른쪽으로 길이 굽어진다.

 

위 사진은 전봇대 앞에서 찍은 사진이다. 문제는 사진 왼쪽에 묘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곳이 국제신문에서 말한 곳으로 판단하고  왼쪽에 있는 임도를 따라 오른쪽 개활지를 끼고 올라가고 말았다. 그런데 이곳에서 비포장 도로를 따라 더 올라가면 지도에 나와 있는 이씨묘가 있는 것 같다. 후답자들은 이곳에서 도로를 따라 더 진행하면서 이씨묘를 찾으면 될 것 같다.

 

위 사진에서 150미터 정도 올라가니 파묘한 곳이 나오고 바로 앞에  소나무 방향으로 희미한 길이 있었다. 통행은 없었지만 길이라는 것은 분명했다. 조금 오르니 4거리가이다. 이곳에서 직진하여 가는데 점점 길이 없어진다. 그래도 무조건 헤쳐 나가니 임도를 만났다. 겨울 같으면 쉽게 넘어갈 것 같았다. 그러나 여름에도 통행하는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다. 시간도 10여분 정도 걸린 것 같았다.

 

임도를 만나고 보니 바로 앞이 저수지이다.

 

저수지를 왼쪽에 끼고 가다가

 

저수지 둑을 건너간다.

 

마을을 관통하여 가니

 

이 목장 안내판이 보일 즈음에 상륜사로 가는 길이 보인다.

 

성륜사로 가는 길과 만나는 지점. 왼쪽은 성륜사 방향, 오른쪽은 출발지점으로 가는 길이다.

 

다시 돌아온 출발지점.

 

2015년 9월 9일 힘날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