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54 차 삼척 무건리 이끼폭포 산행기
1. 일자 : 2015년 5월 24일 일요일
2. 동행 : 아내
3. 코스 : 시멘트 공장(07:55) - 소재말(08:05) - 국시재(08:25) - 이끼폭포 입구(08:57) - 이끼폭포(09:07-09:30)- 소재말(10:25 - 10:45) - 시멘트 공장(10:55)
4. 시간 : 3시간
5. 지도
6. 산행수첩
들머리는 지도상으로 신기리 마을회관으로 되어 있지만 지도의 하고사리역 부근 신기교 부근에 주차하고 시작해도 되고, 마을 회관을 지나 시멘트 공장 주변이나 소재말에 주차를 하고 시작해도 된다. 다만 시멘트 공장 위로 차를 타고 들어갔을 경우 길이 좁아 교행에 신경을 써야 한다.
신기리 마을회관부터는 시멘트 도로를 따라 오르기만 하면 되고 소재말 삼거리에서는 오른쪽 길을 따라 오르면 이끼폭포 입구까지 외길이다.
국시재(아무런 표지도 없음)부터는 흙길이 이어지는데 이끼폭포로 내려가는 길 입구에는 삼척시에서 세워 놓은 안내푯말이 서 있고 내려가는 길을 잘 정비해 놓아서 길을 놓칠 염려는 없다. 지도상 성황골은 답사를 한 국제신문 취재팀에서 적극 말리고 있는 곳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50미터 이상의 보조자일과 암벽 등반의 유경험자가 반드시 동행해야 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고 한다. 그냥 도로를 따라 가벼운 마음으로 걷거나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에서 시작하여 육백산을 넘어 이끼폭포로 내려오는 코스를 선택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승용차를 이용한다면 신기리까지 걸어 내려와 도계 택시를 이용하여 강원대학교 도계 캠퍼스로 돌아가야 한다. 택시비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도계읍에서 대학교까지 15,000원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최하 25,000원은 주어야 할 것 같다.
7. 산길을 걸으며
아침 일찍 일어나
동해의 햇살의 더운 입김을 피해
무건리로 들어선다.
시멘트 공장 부근 공터에 차를 세우고
슬슬
걷는다.
아침의 산길은
상큼해서 좋다.
소재말에서
지독한 산골 오지 마을의 모습을 보다가
국시재 아래에서
홀로 서 있는 농가 한 채에
진한 고독을 만지작거려본다.
이렇게도
사람이 살아가는거로구나 하고
감탄하기에는
너무 깊은 산골이었다.
그곳에서
새 집 짓고
당당히 삶의 수레바퀴를 굴리고 있는
사람은
무엇 때문에
세상에 등을 돌렸을까.
길은
외줄기로 이어진다.
그래도 휘휘롭지 않은 것은
전봇대가
이따끔씩
모습을 드러내며
같은 걸음을 하기 때문이다.
지도상 큰말이라고 판단되어지는 곳에서
불쑥 실소를 한다.
너댓 채의 지붕이
이마를 마주하고 있는데
큰말(큰 마을)이라니...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것같은
심산유곡.
문득
백석 시인의
<여우난 곬족>이라는 시가 생각났다.
여우난곬족(族)
- 백석(1912.07. 01 - 1996년 1월 )
- 1 -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 2 -
얼굴에 별 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 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모 고모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모 고모의 딸 승녀 아들 승동이
육십 리라고 해서 파랗게 보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던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모 고모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동이 작은 홍동이
배나무 접을 잘 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엄매 사촌 누이 사촌 동생들
- 3 -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 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기떡 콩가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 잔대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 4 -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옆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랫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윗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 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대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우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랫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사실 이 시는
산 골에 사는 가족들의 정겨운 모습을 그린 시로
오늘 걷는 분위기와
걸맞는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제목이 아주 잘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여우난곬족(族)이라는 제목은
여우가 나오는 골짜기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오늘 걷는 길이
모퉁이를 돌면
여우가 나타나 재주라도 넘을 같은 분위기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끼폭포는
우리나라 3대 이끼폭포라고 하는데
내려가보니
무엇인가
으스스한 느낌이 든다.
비가 오지 않아
수량이 적은 것이 흠이긴 하지만
깊은 골짝에 숨어들어
초록의 이끼를 덮고
흘러내리는 모습이
눈길을 당기는 것은 분명하다.
상단 폭포가
더 깊이 들어 앉아 있지만
하단 폭포의 느낌이 더 좋다.
아무도 없는 폭포 앞에서
김수영 시인이 노래한
<폭포>와는 비교가 안된다는 생각을 해 본다.
거대하고 웅장한 폭포보다는
이렇게 아담하면서도
조용히 자신의 이야기를 흘리고 있는
그 느낌이 좋았다.
폭포(瀑布)
김수영
폭포는 곧은 절벽(絶壁)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규정(規定)할 수 없는 물결이
무엇을 향(向)하여 떨어진다는 의미(意味)도 없이
계절(季節)과 주야(晝夜)를 가리지 않고
고매(高邁)한 정신(精神)처럼 쉴사이없이 떨어진다.
금잔화(金盞花)도 인가(人家)도 보이지 않는 밤이 되면
폭포(瀑布)는 곧은 소리를 내며 떨어진다.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이다.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번개와 같이 떨어지는 물방울은
취(醉)할 순간(瞬間)조차 마음에 주지 않고
나타(懶惰)와 안정(安定)을 뒤집어 놓은 듯이
높이도 폭(幅)도 없이
떨어진다.
무건리 이끼폭포는
이름부터가
김수영이 노래한 <폭포>는 아니다.
수더분한 아낙이
자나왔던 한(恨)을 늘어 놓는듯하다고 할까.
장난끼 섞인 어린 아이가
엄마 앞에서 재롱을 부리고 있다고 할까.
이끼폭포는
그런 모습으로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고요하고
외로운
심산유곡에서.
시멘트 공장 부근의 공터. 공장 사진을 찍으려고 했는데 관계자가 못찍게 했다. 저 앞 그늘 진곳에 제법 널직한 주차 공간이 있다.
시멘트 원료를 채굴하기 위한 굴. 길이가 315미터라고 쓰여져 있고 안으로 들어가보니 대형 텀프 트럭과 중장비들이 가득 들어 있었다.
소재말 삼거리. 산불 감시초소 앞에 승용차 3-4대 주차공간이 있고, 이 부근에 3-4대는 주차할만한 공간이 있다. 이곳에서 이끼폭포 방향은 안내판이 서 있는 오른쪽 방향이다.
이끼폭포 방향
입산을 금하는 기간을 안내하고 있는 안내판
소재말에서 더 올라가는 길이 오른쪽으로 90도 이상 굽어지는 곳에 있는 집 한 채. 사람은 살고 있지 않는 것 같았다.
위 사진 지점에서 더 올라가면 만나는 국시재. 여기서부터는 비포장 도로이다. 이 사진은 뒤돌아찍은 사진이다.
국시재 이후에는 이런 길이 이어진다.
중간에 이런 샘터를 만나기도 하고
이 깊은 곳에 들어와 사는 재미는 어떨까.
그늘 뒤로 한 노인 분이 살짝 보였다. 인사를 하기에는 너무 먼 거리였다. 저 분은 저곳에서 자신의 삶을 살찌우고 있을 것이다. 그 진한 근원적인 고독을 곁에 두고.
이 샘을 만나면 우측에 이끼폭포를 안내하는 팻말이 서 있다.
바로 이런 모습의 팻말이다.
위 지점에서 이끼폭포로 가다가 뒤돌아 본 큰말의 모습..나무사이로 지붕 몇 개가 살짝 보인다.
여우가 나올 법하지 않은가
이끼폭포로 가는 길. 엄청 가파른 길이 이어진다고 했는데 막상 가보니 길을 정비해 놓아서 힘들지 않았다.
하단폭포. 왼쪽의 밧줄을 잡고 올라가면 상단 폭포를 볼 수 있다.
상단 폭포 모습. 왼쪽의 동굴같은 곳에서도 물이 흘러나온다.
왼쪽의 동굴 모습
상단 폭포
상단폭포에서 바라본 하단 폭포 방향
돌아오는 길. 이렇게 정비해 놓아서 오르내리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이끼폭포에서 국시재로 되돌아 오는 길
큰말로 들어가는 입구. 녹슬은 포크레인이 길을 막고 있다.
소재말과 국시재 사이에 있는 집.
소재말에 있는 양봉농가. 채밀하고 있기에 꿀 두 병을 샀다. 80,000원. 생수통은 12병이 들어가는데 40만원이라고 한다. 그 자리에서 주인 아주머니가 주시는 벌집을 받아 씹으니 달콤한 꿀이 입에 가득하다.
저 번호로 전화하면 택배로 보내준다고 한다. 워낙 깊은 산골에서 채취한 꿀이고 요즘 강원도 일대는 가물어서 꿀이 넘쳐나서 벌에게 설탕을 먹일 일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좋은 꿀이라고 한다.
2015년 5월 24일 힘날세상
'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362 차 정선 민둥산 산행기 (0) | 2015.10.19 |
---|---|
제 355 차 정선 민둥산 산행기 (0) | 2015.05.26 |
제 342 차 삼척 검봉산 산행기 (0) | 2014.12.19 |
제 330 차 춘천 삼악산 산행기 (0) | 2014.09.03 |
제 329 차 춘천 오봉산 산행기 (0) | 2014.09.03 |